논리력과 수학적 분석력, 새로운 관점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책!
-
-
우주의 비밀 I
우주에서 시간이 사라지다 -
- 출판사: 경문사
- 저자
- 김군찬,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수학과 교수
- 김영희, 상명대학교 공과대학 의생명공학과 교수
-
우주의 비밀 I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첫 번째 열쇠: 빛의 특이한 성질과 시간의 본질
이 책의 첫 번째 목표는 아인슈타인의 사고 실험에 치명적인 오류가 있음을 지적하고 움직이는 물체에 시간 지연 현상이 일어나지 않음을 밝히고자 한다. 즉, 17세기에 만유인력 법칙을 발견한 뉴턴이 주장했듯이, 만약 시간이 존재한다면, 우주 안의 시간은 관측자에 따라 다르게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절대적이라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고 실험을 했는지, 시간 지연 효과는 어떻게 유도되었는지, 그 치명적인 오류란 무엇인지, 무엇을 잘못 생각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두 번째 목표는 우리가 잘 모르는 빛이 가진 신비스러운 성질을 명확히 밝히는 것이다. 즉, 어느 누가 측정하더라도 빛의 속도가 항상 똑 같게 주어지는 광속도의 일정성에 대한 근본적인 이유를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자 한다. 그 근본적인 이유는 오직 빛의 파장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전공자뿐만 아니라 일반 독자들까지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그림과 비유와 은유를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 책의 첫 번째 목표는 아인슈타인의 사고 실험에 치명적인 오류가 있음을 지적하고 움직이는 물체에 시간 지연 현상이 일어나지 않음을 밝히고자 한다. 즉, 17세기에 만유인력 법칙을 발견한 뉴턴이 주장했듯이, 만약 시간이 존재한다면, 우주 안의 시간은 관측자에 따라 다르게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절대적이라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고 실험을 했는지, 시간 지연 효과는 어떻게 유도되었는지, 그 치명적인 오류란 무엇인지, 무엇을 잘못 생각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두 번째 목표는 우리가 잘 모르는 빛이 가진 신비스러운 성질을 명확히 밝히는 것이다. 즉, 어느 누가 측정하더라도 빛의 속도가 항상 똑 같게 주어지는 광속도의 일정성에 대한 근본적인 이유를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자 한다. 그 근본적인 이유는 오직 빛의 파장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전공자뿐만 아니라 일반 독자들까지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그림과 비유와 은유를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목차
- 이 책을 시작하며 p7
- Part 1 빛의 궤적은 보통 물체의 궤적처럼 보이는가?
- 빛의 궤적과 파장에 숨겨진 비밀을 캐기 위한 기초 중의 기초 p19
- 특수 상대성 원리와 광속도 불변의 원리는 어떻게 형성되었나? p36
- Part 2 시간 지연 현상은 과연 일어날까?
- 움직이는 물체의 시간 지연 효과는 어떻게 도출되었나? p51
- 시간 지연 현상을 유도한 ‘사고 실험’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가? p65
- 시간의 절대성에 대한 증명 p87
- Part 3 광속도 불변의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 광속도 불변의 근본적인 이유 p95
- 중력이 약하든 중력이 강하든 시간은 균일하게 흐른다는 시간의 절대성에 대한 증명 p126
- 두 관성계 사이를 잇는 시간이 절대적인 새로운 좌표 변환p133
- Part 4 시간 지연 현상을 지지하는 실험이나 사례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가?
- 시간 지연 현상과 관련되는 상황과 실험결과에 대한 올바른 해석 p139
- Part 5 광행차가 일어나는 실제 이유는 무엇일까?
- 별의 광행차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 p165
- 동일한 현상의 서로 다른 표현인 전기력과 자기력에 관하여 p176
- 시간은 존재하는가? p184
-
-
우주의 비밀 2
시공간은 휘어지지 않는다. -
- 출판사: 경문사
- 저자
- 김군찬,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수학과 교수
- 김영희, 상명대학교 공과대학 의생명공학과 교수
-
우주의 비밀 2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두 번째 열쇠: 공간의 본질
이 책의 첫 번째 목표는 질량에 의해서 시공간이 휘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밝히는데 있다.
속도나 중력에 의하여 시간이 천천히 흐르거나 빨리 흐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간 역시 질량에 의하여 휘어지거나 구부러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질량에 의해서 공간이 휠 수 있다는 발상은 어떻게 하게 되었는지, 왜 이런 잘못된 생각을 갖게 되었는지, 이 책에서 저자는 질량에 의해서 공간이 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두 번째 목표는 뉴턴 역학이 틀리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태양과 같은 질량에 의한 빛의 휨을 뉴턴 역학으로 계산했을 때 실제로 관측한 값의 반만 나온 이유는 뉴턴 역학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각을 재는 기준점이 달랐기 때문임을 밝힌다. 이는 공간이 굳이 휘어질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상대성이론의 핵심인 아인슈타인 방정식은 휘어지지도 않는 시간과 공간을 휘어진다고 간주하고 만든 것이다. 다만 뉴턴 역학과 같이 정확한 값을 계산해 낼 뿐이다.
이 책의 첫 번째 목표는 질량에 의해서 시공간이 휘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밝히는데 있다.
속도나 중력에 의하여 시간이 천천히 흐르거나 빨리 흐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간 역시 질량에 의하여 휘어지거나 구부러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질량에 의해서 공간이 휠 수 있다는 발상은 어떻게 하게 되었는지, 왜 이런 잘못된 생각을 갖게 되었는지, 이 책에서 저자는 질량에 의해서 공간이 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두 번째 목표는 뉴턴 역학이 틀리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태양과 같은 질량에 의한 빛의 휨을 뉴턴 역학으로 계산했을 때 실제로 관측한 값의 반만 나온 이유는 뉴턴 역학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각을 재는 기준점이 달랐기 때문임을 밝힌다. 이는 공간이 굳이 휘어질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상대성이론의 핵심인 아인슈타인 방정식은 휘어지지도 않는 시간과 공간을 휘어진다고 간주하고 만든 것이다. 다만 뉴턴 역학과 같이 정확한 값을 계산해 낼 뿐이다.
목차
- 이 책을 시작하며
- 관점의 중요성
- 오륙도가, 오륙도가 아니라니? 5
- 연구원과 직속상관, 모두 틀리지 않았다! 6
- 천체와 관련된 단위 11
- 1부 일반 상대성 이론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 등가 원리 17
- 중력에 의한 빛의 휨 18
- 아인슈타인은 왜 질량이 공간을 휘게 한다고 생각했을까? 20
- ‘질량이 공간을 휘게 한다’는 발상의 허점 21
- 2부 뉴턴 역학이란?
- 물체와 천체의 운동을 다루는 뉴턴 역학 28
- 뉴턴 역학으로 계산할 수 있는 사례들 30
- 3부 일반 상대성 이론의 핵심 개념들
- 아인슈타인 방정식 43
- 미분, 편미분 개념 44
- 텐서 51
- 선 요소 54
- 선 요소의 활용 65
- 4부 질량에 의한 빛의 휨 - 뉴턴 역학은 틀리지 않았다 -
- 적분개념 77
- 뉴턴 역학에 의한 빛의 휨 계산 81
- 실제 관측 결과 86
-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한 빛의 휨 계산 88
- 차이는 각의 꼭짓점에 있다 94
- 5부 수성의 근일점 이동 43″에 대한 새로운 풀이
- 뉴턴 역학에 의한 수성의 근일점 이동(532″) 105
-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한 수성의 근일점 이동(43″) 107
- 43″에 대한 새로운 풀이 111
- 6부 공간은 질량에 의하여 휘어지지 않는다!
- 시간 지연 효과는 일어나지 않는다 125
- 시공간의 곡률에 대한 오해 135
- 중력을 시공간의 휨으로 대체했을 때 생기는 의문점들 140
- 중력파는 존재할까? 142
- 공간은 질량에 의하여 휘어지지 않는다! 144